맨위로가기

중구 (인천광역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구 (인천광역시)는 백제 시대 미추홀로 불린 지역으로,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 인천군 제물포로 불리며 어촌을 이루었다. 1883년 인천항 개항 이후 일본, 청, 각국 조계가 설정되어 근대 문물이 유입되었고, 짜장면이 발상하는 등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무대가 되었다. 1968년 인천시 중구로 설치되었으며, 1973년 월미도를 편입하고, 1989년 영종면·용유면을 편입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행정 구역은 원도심과 영종도권으로 나뉘며, 2026년 행정 구역 개편을 통해 영종구와 제물포구로 분리될 예정이다. 인천국제공항, 차이나타운, 자유공원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하며, 수산업과 다양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중구의 행정 구역 - 개항동
    개항동은 2021년 북성동, 송월동과 통합되어 신설된 인천광역시 중구의 행정동이며, 일제강점기에는 화방정으로 불렸고, 북성동1가, 북성동2가 등 법정동을 관할하며, 인천역이 위치해 있다.
  • 인천 중구의 행정 구역 - 운서동
    운서동은 인천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인천국제공항과 인접하여 공항철도와 자기부상철도가 지나고, 관련 시설과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 1968년 설치 - 동구 (인천광역시)
    동구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1968년 설치되어 2022년 기준 5만 8천여 명이 거주하며 2026년 중구와 통합하여 제물포구로 변경될 예정이다.
  • 1968년 설치 - 대구지방국세청
    대구지방국세청은 대한민국 국세청 소속 기관으로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관할하며, 1968년 부산지방국세청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다.
  • 인천광역시의 구 - 연수구
    연수구는 1995년 인천광역시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으며, 약 38만 5천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고, 인천대학교,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등의 교육기관이 있으며, 인천 도시철도 등을 포함한 교통망을 갖춘 구이다.
  • 인천광역시의 구 - 남동구
    인천광역시 남동구는 1988년 남구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자치구로, 약 50만 명이 거주하며 주요 교통망과 시설, 교육기관 등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다.
중구 (인천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중구
원어 이름 (언어)ko
로마자 표기 (Revised Romanization)Jung-gu
로마자 표기 (McCune–Reischauer)Chung-gu
종류자치구
국가대한민국
광역 자치 단체수도권
지방 자치 단체인천광역시
하위 행정 구역11개 행정동
면적 (km²)134.29
인구 (2020년)136,879명
인구 밀도 (명/km²)자동 계산
방언서울
웹사이트중구청 웹사이트
인천 중구 깃발
인천 중구 깃발
일반 정보
구청 위치인천광역시 중구 신포로27번길 80(원도심 제1청),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서로 100(영종 제2청)
법정동52
행정동12
구청장김정헌(국민의힘)
국회의원배준영(국민의힘, 중구·강화군·옹진군)
구목해송
구화철쭉
구조갈매기
중구청
면적 (2022년 1월 31일 기준)
면적 (km²)140.36
인구 (2022년 12월 기준)
총 인구152,931명
세대수75,960

2. 연혁

1906년 인천부 다소면 일부(현 중구 내륙 지역)가 부내면으로 개편되었고, 1910년 인천부가 설치되었다. 1949년 8월 15일에는 인천부가 인천시로 개칭되었으며, 1956년 11월 23일에는 인천시 중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19]

개항과 함께 유입된 근대 문물은 인천을 조선 최초의 우편 사업, 프로테스탄트 포교, 근대식 공원 조성 등이 이루어진 곳으로 만들었다. 짜장면 역시 인천 차이나타운에서 탄생했다.

한국 전쟁 당시 인천 상륙 작전의 무대가 되면서 큰 피해를 입었지만, 전후 복구 과정에서 더글러스 맥아더 동상이 세워지고 자유공원이 조성되는 등 새로운 변화를 맞이했다.

2. 1. 고대-조선 시대

백제 시대에 미추홀로 불리던 이 지역은 1018년(고려 현종 9년) 수주군으로 개칭되었다가, 1096년(고려 숙종) 인주로, 1390년(고려 공양왕) 경원부로 개편되었다. 1392년(조선 태조 원년) 인주로 환원되었고, 1413년(조선 태종 13년) 인천군으로 개편되었다가 1460년(조선 세조) 인천도호부로 승격되었다.[19]

조선 왕조 시대에는 현재의 미추홀구 문학동 부근에 중심지를 둔 인천군에 속하는 '''제물포'''라는 어촌이었다. 이후 서울에 가장 가까운 양항으로 서양 열강과 일본·청국에 의해 주목받아, 1882년 제물포 조약조미 수호 통상 조약 등이 이 곳에서 맺어졌다.

1883년 제물포가 '''인천항'''으로 개항되면서, 항구를 중심으로 일본 조계·청국 조계·각국 조계(공동 조계)가 설정되어 영사관이 설치되고 시가지가 형성되었다.

2. 2. 개항 이후

조선 시대에는 인천군 (중심지는 현재의 미추홀구 문학동 부근)에 속하는 '''제물포'''라고 불린 어촌이었다. 서양 열강과 일본·청국에 의해 서울에 가장 가까운 양항으로 주목받아, 1882년제물포 조약조미 수호 통상 조약 등이 이 땅에서 맺어졌다.

1883년, 제물포가 '''인천항'''으로 개항되면서, 항구를 중심으로 일본 조계·청국 조계·각국 조계 (공동 조계)가 설정되어 영사관이 설치되고, 시가지가 형성되었다. 개항지는 해외에서 서양적·근대적인 문물과 기구·사상이 유입된 곳으로, 인천의 개항지는 우편 사업, 프로테스탄트의 본격적인 포교, 근대 서양적인 공원 조성 등이 조선에서 가장 먼저 시작된 땅이다. 또한, 한국에 토착화된 중화 요리의 대표 격인 짜장면은 인천의 차이나타운에서 발상했다.[19]

이러한 조계는, 조선이 일본에 병합된 후인 1914년에 철폐되었다. 일본 통치하에 놓인 인천부는, 조계를 관리하던 이사청의 계통을 잇는 것으로, 당초에는 개항지였던 중구 일대만을 관할하고 있었다. 인천 이사청의 건물은 인천부청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개축을 거쳐 현재는 중구청으로 사용되고 있다.

인천의 구 시가지는, 한국 전쟁 당시의 인천 상륙 작전의 무대가 된 지역이기도 하다. 이 작전은 전황의 대전환을 가져왔지만, 시가지도 전재를 입었다. 휴전 후, 인천 상륙 작전을 기념하여 응봉산의 공원에는 더글러스 맥아더의 동상이 세워졌고, 공원의 이름도 "자유공원"으로 개칭되었다.

개항기 이후, 관공서나 은행·교회, 민가 등 근대 건축물이 많이 세워졌다. 이러한 건물들은 한국 전쟁으로 인한 전재에 더해, 실화나 노후화로 인한 철거로 인해 사라져 갔다. 또한, 차이나타운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정치적·사회적인 상황 속에서 쇠퇴했다. 최근, 이러한 개항지에 유래하는 경관 및 근대 문화유산의 재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광 자원으로서도 정비되게 되었다.

날짜내용
1883년인천항 개항, 일본 조계 설정.
1884년청국 조계·각국 조계 (공동 조계) 설정.
1888년만국공원 (현·자유공원) 개원.
1898년 9월 18일경인선 개통, 인천역 개업.
1914년 4월 1일청국 조계와 공동 조계 폐지.
1950년 9월 15일인천 상륙 작전.
1968년 1월 1일경기도 인천시 중앙동·해안동·항동·관동·송학동·사동·신생동·신포동·답동·신흥동·선화동·유동·율목동·도원동·북성동·선린동·인현동·전동·내동·경동·용동·송월동을 가지고, 인천시 중구가 설치된다.
1973년 7월 1일동구에서 월미도를 편입.
1989년 1월 1일경기도옹진군 영종면·용유면을 편입.
2001년 3월 29일인천국제공항 개항.
2026년 7월 1일 (예정)행정 구역 개편[13]


2. 3. 중구 설치 이후

1968년 1월 1일, 경기도 인천시 중앙동, 해안동, 항동, 관동, 송학동, 사동, 신생동, 신포동, 답동, 신흥동, 선화동, 유동, 율목동, 도원동, 북성동, 선린동, 인현동, 전동, 내동, 경동, 용동, 송월동을 가지고 인천시 중구가 설치되었다.[20] 1973년 7월 1일에는 동구에서 월미도를 편입하였다.[21] 1989년 1월 1일에는 경기도 옹진군 영종면·용유면을 편입하였다.[22]

인천국제공항 개발로 영종·용유 지역은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지만, 인천의 구도심 지역은 인구가 감소하였다. 이에 영종·용유 주민들은 영종·용유를 인천의 자치구로 하고, 인천 중구의 구도심 지역을 동구와 통합해야 한다고 요구했다.[1] 2022년,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이 제안을 시 정책으로 공식화했다. 중구의 구도심 지역과 동구는 제물포구로 통합되고, 영종·용유는 독립된 영종구로 분구될 예정이다. 영향을 받는 두 구청장도 이 제안에 동의했다.[3]

2026년 7월 1일 (예정) 행정 구역이 아래와 같이 개편될 예정이다.[13]

3. 행정 구역

인천 중구는 11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140.36km2이다.[17] 2022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15만 2,931명, 7만 5,960가구이다.[18] 중구는 인천항을 중심으로 도심을 이룬 원도심권인천국제공항 개항으로 2000년부터 신도시를 개발·확장하고 있는 영종도권으로 나눌 수 있다. 원도심권의 인구는 계속 줄어들고 있지만, 영종도권은 공항 개항 후 꾸준히 인구가 증가하여 구 전체 인구도 2009년 5월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다.[18]

원도심과 영종도 사이에는 직접 연결되는 도로가 없어 왕래가 불편하기 때문에, 영종동 주민센터 옆에 구청 민원업무를 담당하는 〈인천중구 제2청사〉가 설치되어 있다.[25]

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세대
원도심권
연안동沿岸洞4.73km25,7753,220
신포동新浦洞1.82km24,7792,560
신흥동新興洞3.52km213,4306,392
도원동桃源洞0.26km23,9592,174
율목동栗木洞0.18km23,0821,805
동인천동東仁川洞0.64km25,6263,337
개항동開港洞3.24km27,1723,906
영종도권
영종동永宗洞31.58km222,37811,554
영종1동永宗1洞1.9km2--
영종2동永宗1洞3.5km2--
운서동雲西洞50.29km236,09820,401
용유동龍游洞38.55km23,7392,463
총 계140.36km2152,93175,960



300px


중구는 12개 행정동(52개 법정동)으로 구성된다.

행정동법정동
연안동항동7가, 북성동1가
신포동중앙동1가, 중앙동2가, 중앙동3가, 중앙동4가, 해안동1가, 해안동2가, 해안동3가, 해안동4가, 관동1가, 관동2가, 관동3가, 항동1가, 항동2가, 항동3가, 항동4가, 항동5가, 항동6가, 항동7가, 송학동1가, 송학동2가, 송학동3가, 사동, 신생동, 신포동, 답동
신흥동신흥동1가, 신흥동2가, 신흥동3가, 선화동
도원동도원동
율목동유동, 율목동
동인천동내동, 경동, 용동, 인현동, 전동
개항동북성동1가, 북성동2가, 북성동3가, 선린동, 송월동1가, 송월동2가, 송월동3가, 전동
영종동중산동, 운남동, 운북동
영종1동중산동, 운남동
영종2동중산동
용유동을왕동, 남북동, 덕교동, 무의동
운서동운서동


3. 1. 원도심권

인천 중구의 행정 구역은 11개 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40.36 km2이고,[17] 2022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15만 2,931명, 7만 5,960세대이다.[18] 중구는 인천항을 중심으로 도심을 이룬 원도심권인천국제공항의 개항으로 2000년부터 신도시를 개발·확장하고 있는 영종도권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인구가 계속 줄어들고 있는 원도심권과 달리 영종도권의 인구는 공항이 개항한 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18]

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세대
연안동沿岸洞4.735,7753,220
신포동新浦洞1.824,7792,560
신흥동新興洞3.5213,4306,392
도원동桃源洞0.263,9592,174
율목동栗木洞0.183,0821,805
동인천동東仁川洞0.645,6263,337
개항동開港洞3.247,1723,906


3. 2. 영종도권

인천국제공항의 개항으로 2000년부터 신도시를 개발·확장하고 있는 영종도권은 원도심권과 달리 공항 개항 이후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2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영종도권의 인구는 109,108명, 52,566가구이다.[18]

중구청 청사가 있는 원도심과 영종도 사이에는 직접 연결하는 도로가 없어 왕래가 불편하다. 이 때문에 영종동 주민센터 옆에 구청 민원업무 등을 담당하는 〈인천중구 제2청사〉가 설치되어 있다.[25]

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세대
영종동永宗洞31.5822,37811,554
영종1동永宗1洞1.90--
영종2동永宗1洞3.50--
운서동雲西洞50.2936,09820,401
용유동龍游洞38.553,7392,463


3. 3. 도서 지역



행정동법정동
영종동중산동, 운남동, 운북동
영종1동중산동, 운남동
영종2동중산동
용유동을왕동, 남북동, 덕교동, 무의동
운서동운서동


4. 인구

인천광역시 중구의 행정 구역은 11개 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40.36km2이다.[17] 2022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15만 2,931명, 7만 5,960가구이다.[18] 중구는 인천항을 중심으로 도심을 이룬 원도심권인천국제공항 개항 이후 2000년부터 신도시를 개발·확장하고 있는 영종도권으로 나눌 수 있다. 원도심권의 인구는 계속 줄어들고 있지만, 영종도권의 인구는 공항 개항 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 전체 인구도 2009년 5월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다.[18]

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세대
원도심권14.54km243,82323,394
연안동沿岸洞4.73km25,7753,220
신포동新浦洞1.82km24,7792,560
신흥동新興洞3.52km213,4306,392
도원동桃源洞0.26km23,9592,174
율목동栗木洞0.18km23,0821,805
동인천동東仁川洞0.64km25,6263,337
개항동開港洞3.24km27,1723,906
영종도권125.82km2109,10852,566
영종동永宗洞31.58km222,37811,554
영종1동永宗1洞1.9km2--
영종2동永宗1洞3.5km2--
운서동雲西洞50.29km236,09820,401
용유동龍游洞38.55km23,7392,463
총 계140.36km2152,93175,960


  • 인천 중구의 연도별 인구 추이[26]

연도총인구비고
1980년84,252명
1985년83,564명
1990년81,603명1989년 편입 지역 : 영종동 7,027명, 용유동 2,427명
1995년68,082명
2000년66,642명
2005년86,167명
2010년83,623명
2015년112,910명
2019년131,863명



영종도, 무의도, 실미도, 팔미도 등 섬 지역에 중구 전체 인구의 약 11만 명이 거주하며, 본토 인구는 약 4만 5천 명에 불과하다.[13]

5. 정치 및 행정


  • 현재 중구청은 인천광역시 중구 관동1가에 있다.
  •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동(운남서로 100)에 중구청 제2청사가 개청하였다.

1989년, 영종·용유가 중구로 편입되었다. 영종·용유는 인천국제공항 개발로 급격한 인구 증가를 겪었지만, 인천의 구도심 지역은 급격한 인구 감소를 겪었다. 이에 많은 영종·용유 주민들은 영종·용유를 인천의 자치구로 하고, 인천 중구의 구도심 지역을 동구와 통합해야 한다고 요구했다.[1] 2022년, 영종·용유의 대한민국 국민 인구는 10만 명을 넘어섰고, 중구와 동구의 구도심 지역을 넘어섰다.[2]

2022년 8월 31일,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이 제안을 시 정책으로 공식화했다. 중구의 구도심 지역과 동구는 제물포구로 통합되고, 영종·용유는 독립된 영종구로 분구될 예정이다. 영향을 받는 두 구청장도 이 제안에 동의했다.[3]

6. 교육 기관

국제 학교로는 인천화교소·중산중고등학교가 있다.[4]

6. 1. 원도심

원도심 지역에는 다음과 같은 고등학교들이 있다.



국제 학교로는 인천화교소·중산중고등학교가 있다.[4]

6. 2. 영종도

7. 산업

(현재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7. 1. 수산업

원도심의 어업은 무역항인 인천항에서 출항하며, 지방어항 및 어촌정주어항은 영종도권에 있다.

8. 교통

중구는 인천항을 중심으로 발달한 지역으로, 다양한 교통 수단이 발달해 있다.

한국철도공사 경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동인천역과 인천역을 지난다. 수인선숭의역※, 신포역을 거쳐 인천역으로 이어진다. 공항철도영종역, 운서역, 공항화물터미널역, 인천국제공항1터미널역, 인천국제공항2터미널역을 지난다. 인천국제공항1터미널역에서는 용유차량기지역까지 임시 노선이 운행된다.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인천국제공항1터미널역에서 출발하여 장기주차장역, 합동청사역, 파라다이스시티역, 워터파크역을 지나 용유역까지 운행된다.

※ 숭의역은 미추홀구에 있지만, 중구와의 경계에 있다.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는 공항신도시와 공항입구를 잇는다.

인천항에는 내항, 연안부두, 월미도 선착장이 있다. 내항 제2 국제여객터미널에서는 칭다오, 웨이하이, 톈진행 선박이 운항된다. 연안부두 연안여객터미널에서는 경기만 내 섬과 백령도, 연평도행 선박이, 제1 국제여객터미널에서는 다롄, 단둥, 옌타이행 선박이 운항된다. 월미도 선착장에서는 영종도행 페리가 운항된다.

동인천역을 통과하고 있는 인천 112번 버스

8. 1. 원도심

수도권 전철 1호선 (동구←)'''동인천역''' - 인천역 (급행 정차역: 동인천역)[1]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남항 교차로, 인천항사거리[2]

국도 제6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3]

서해대로, 축항대로, 제물량로, 인중로, 참외전로, 월미로, 월미문화로, 차이나타운로, 신포로[4]

신포동 (중앙동1~4가, 해안동1~4가, 관동1~3가, 송학동1~3가, 사동, 신생동, 답동, 신포동, 항동1~6가 및 항동7가 일부)[5]

연안동 (항동7가 일부 및 북성동1가 일부)[6]

개항동[7]

북성동 (북성동2·3가, 북성동1가 일부, 선린동)[8]

송월동1~3가[9]

신흥동 (신흥동1~3가 및 선화동)[10]

율목동 (율목동 및 유동)[11]

동인천동 (내동, 경동, 용동, 인현동, 전동)[12]

도원동[13]

8. 2. 영종도

영종도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한 섬으로, 원래 영종동(중산동, 운남동, 운북동)과 운서동이 있었으나, 현재는 영종동, 운서동으로 나뉜다.[13] 영종도에는 공항철도가 지나가는데, 영종역, 운서역, 공항화물청사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역이 있다. 인천공항1터미널역에서는 급행열차가 정차한다.

인천교통공사의 자기부상열차 노선도 영종도를 지나간다. 이 노선은 인천공항1터미널역에서 출발하여 장기주차장역, 합동청사역, 파라다이스시티역, 워터파크역을 거쳐 용유역까지 운행된다.

영종도에는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제2경인고속도로가 지나간다.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에는 금산 나들목, 공항입구 분기점, 공항신도시 분기점이 있고, 제2경인고속도로에는 공항신도시 분기점, 영종 나들목이 있다.

8. 3. 영종-원도심 간 교통

월미도에서 배가 운항되며, 제2공항철도가 제안되어 있다.[13]

9. 관광


건축물설명
구 일본 제1은행 인천지점1882년 건축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구 일본 오십팔은행 인천지점 (현·중구 음식업조합)1892년 건축 (시 유형문화재)
구 일본 제18은행 인천지점 (현·인천개항장 근대건축 박물관)1896년 건축 (시 유형문화재)
구 일본 인천우체국 (현·중동우체국)1896년 건축 (시 유형문화재)
한국어동성당1890년대 건축의 가톨릭 교회 (사적)
제물포 구락부 (현·인천문화원)1901년 건축 (시 유형문화재). 1914년에 일본 재향군인연합회 시설 "정방각"이 되었고, 나중에 일본 부인회관으로도 사용되었다.[15]
홍예문1908년 건축의 터널 (시 유형문화재).
홍예문
구 인천부청사 (현·중구청)1933년 건축 (등록문화재)


  • 월미도는 원래 섬이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육지와 연결되었고, 1918년 이후 관광지로 정비되었다. 인천 상륙 작전에서 미군의 주요 상륙지가 되어 황폐해졌으나, 현재는 매립되어 반도가 되었고 월미공원이 조성되어 관광 특구로 개발되고 있다.
  • 영종도
  • 무의도
  • 실미도

10. 자매 도시


11. 사건/사고

1999년 인현동 화재 참사가 발생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송도·영종·청라 20년만에 인구 40만명, 외국인은 1.5%…인천경제자유구역의 '명암' https://www.khan.co.[...] 2022-02-22
[2] 웹사이트 인천 중구 영종국제도시 주민등록인구 10만명 돌파 https://www.incheont[...] 2022-02-18
[3] 웹사이트 인천 행정체제 개편, 군수·구청장 대체로 찬성 '주민수용성' 관건 http://www.incheonto[...] 2022-09-13
[4] 웹사이트 Overseas Chinese primary and middle, high school, Incheon http://www.isi.go.kr[...] International School Information, Government of South Korea 2016-03-30
[5] 웹사이트 Gaehangjang (Open Port Area) Street (개항장 거리) https://english.visi[...]
[6] 뉴스 인천아트플랫폼 15주년… 레지던시 입주 작가 총 527명 [ART-플랫폼, 인천] http://www.kyeongin.[...] 2024-07-22
[7] 뉴스 인천 개항장 일대 확~ 변한다… ‘테마 박물관’ 거리로 https://go.seoul.co.[...] 2012-03-07
[8] 뉴스 우리나라 서구식 호텔의 시작 '인천 대불호텔' [인천톡톡] https://www.sedaily.[...] 2024-07-20
[9] 뉴스 인천 차이나타운, 화교들의 140년 역사 담긴 삶의 터전 https://www.obsnews.[...] 2021-10-18
[10] 웹사이트 Jajangmyeon Museum | Incheon https://www.afar.com[...] 2017-08-17
[11] 뉴스 변화 준비하는 인천 중구 '송월동화마을'…두마리 토끼 잡는다 https://kgnews.co.kr[...] 2022-10-19
[1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13] 웹사이트 2026년 7월 검단구·영종구 출범…인천시, 3단계로 준비 https://www.yna.co.k[...] 2024-03-12
[14] 웹사이트 旧仁川郵便局 https://www.seoulnav[...]
[15] 웹사이트 旧済物浦倶楽部(仁川) https://www.seoulnav[...]
[16] 웹사이트 虹霓門(仁川) https://www.seoulnav[...]
[17] 웹인용 2022년 1월 31일 인천광역시 법정동별 데이터 https://www.data.go.[...]
[18] 웹인용 2022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9] 문서 인천시 조례 제144호
[20] 문서 법률 제1919호 인천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67년 3월 30일)
[21] 문서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22] 문서 법률 제4051호 부산직할시강서구설치및시·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8년 12월 31일)
[23] 문서 중구 조례 제824호 (2011년 12월 14일)
[24] 웹사이트 인천광역시 중구와 미추홀구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https://www.law.go.k[...] 대통령령 제33255호 (2023년 2월 21일)
[25] 뉴스 인천시 중구, 영종도에 제2청 청사 개청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9-10-16
[26] 문서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27] 뉴스 인천 차이나타운, 화교들의 140년 역사 담긴 삶의 터전 https://www.obsnews.[...] 2021-10-18
[28] 뉴스 인천 개항장 일대 확~ 변한다… ‘테마 박물관’ 거리로 https://go.seoul.co.[...] 2012-03-07
[29] 뉴스 우리나라 서구식 호텔의 시작 '인천 대불호텔' [인천톡톡] https://www.sedaily.[...] 2024-07-20
[30] 뉴스 변화 준비하는 인천 중구 '송월동화마을'…두마리 토끼 잡는다 https://kgnews.co.kr[...] 2022-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